시스템

*무료배포 룰인 트리큐브 테일즈의 룰을 일부 개변/차용합니다.

 

• 캐릭터 생성

캐릭터의 프로필에서 게임 스탯처럼 임무를 수행하는데 직접적 영향을 주는 부분은, 직급¹, 직군², 스탯³, 자원⁴입니다. 여기서 직급/직군/스탯은 초기 설정 시 결정할 수 있고, 자원은 직급의 영향을 받습니다.

 

직급¹

견습, 수련, 평, 수석, 대, 마스터 단계로 나뉘어져있습니다.

Exp를 쌓아 진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진급 시마다 자원인 HP와 SP의 한계치가 증가합니다.

평 -> 수석 -> 대 -> 마스터 단계의 진급은 추가적인 아이템(희귀한 드랍 혹은 exp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음) 및 자격 증명 요소가 필요합니다. 

이것들은 초반 지역에서는 얻기가 아주 어려우며, 수석 이상의 플레이는 주변 평 이하의 직급들을 일정이상 도와야하는(*멘토링) 플레이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직군²

헌터, 직공, 사제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직군은 특화된 영역이 다릅니다.

 

 

헌터는 전투 특화로, 전투판정의 난이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전투에 유리하나, 스스로 판정에 이용되는 자원인 HP와 SP를 회복할 수 없습니다. 성장을 하거나, 아이템을 사용하는 방법 뿐입니다.

 

 

직공은 제작 특화로, 제작판정의 난이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무언가 제작할 때 유리하며, 아이템이 없어도 영구적 레시피를 기억합니다. 직공이 제작한 아이템은 기본적으로, 일회성이긴 하나 SP를 증가시켜 줍니다. (한계치를 넘어 증가한다면 그 임무에서만 사용되는 임시 SP가 됩니다.)

 

 

사제는 회복 특화로, 회복판정의 난이도가 낮습니다. 자원인 HP를 증가시켜줄 수 있습니다. 운이 좋다면 회복에 축복이 깃들어, 다인의 HP를 일정량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제작한 아이템에 축성을 하여 일회성으로 HP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한계치를 넘어 증가한다면 그 임무에서만 사용되는 임시 HP가 됩니다.)

 

 

세 직군은 상호 거래 혹은 도움을 주고받으며 이득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스탯³

힘, 솜씨, 지혜 총 세 가지의 스탯이 있습니다. 이 스탯은 판정에 사용됩니다. 

투자하는 스탯에 따라 다이스 3개로 판정하는 강점, 다이스 2개로 판정하는 평균, 다이스 1개로 판정하는 약점이 결정됩니다. 다이스는 6면체 다이스를 사용합니다.

 

자원⁴

HP와 SP가 있습니다. HP는 전투 시 사용되는 자원입니다. 적에게 공격받을 시 잃습니다.

SP는 판정 시 재굴림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자원입니다.

자원의 회복은 하루가 지나야합니다. 하루가 지나면 한계치 만큼의 모든 자원이 회복됩니다. 

한계치를 영구 증가시키려면 진급하는 방법 뿐입니다.

 

 

• 일일 임무

매일(자정 기준) 1회씩 조사봇을 태그해 임무를 진행하고 골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임무는 지역 임무에 사용되는 임무 횟수와는 별개로 카운트 합니다. (지역임무 1회, 일일임무 1회) 따라서 지역임무를 완료한 상태더라도 일일임무는 진행 가능합니다. 임무는 전투 / 보급 / 구호 임무가 제공되며 택1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각자 유리한 판정의 임무를 선택하여 진행하면 되지만(ex-헌터: 전투), 원한다면 조사봇을 태그하여 다른 판정을 요하는 임무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지역 임무

일일 임무 달성도가 일정 이상이 된다면, 지역 임무가 개방됩니다.

지역 임무는 1블록당 1회의 임무 횟수를 차감합니다. 임무 횟수는 캐릭터당, 한 지역 별로  n회가 제공 되나(추후 공지 참고) 1일 1회를 넘길 수는 없습니다.

 

 

조사봇을 태그하여 [지역] 이름을 언급하면, 임무 횟수를 차감하고 임무가 시작됩니다.

임무를 중도포기하고 돌아올 수 있습니다만, 이 경우에도 차감된 임무 횟수는 회복되지 않습니다. HP를 모두 잃었다면 이 경우에도 임무를 중도포기하고 교단으로 복귀해야만 합니다.

 

 

*동행의 경우, 동행의 HP가 남아있고 동행인이 한 블록을 전부 수색했다면 임무 완료 처리합니다. 이 경우 HP를 모두 잃은 시점부터의 전리품은 얻지 못합니다.

 

 

지역 최초출발점은 동일합니다.

간혹 일일임무 보상으로 드랍되는 [지도] 아이템을 사용한다면 다른 출발점을 지정하여 시작할 수 있습니다.

 

 

진회색으로 칠해진 블록은 개방되지 않은 지역으로, 그 지역의 가로 혹은 세로로 맞붙은 블록을 최초로 조사해야만 조사할 수 있습니다. 협력하여 지역을 수색합시다.

 

 

개방된 블록은 개방 기간동안 최초탐사자 이외에도 임무 횟수를 차감하여 몇 번이고 재탐사가 가능합니다. 다만, 특정 아이템은 최초탐사자 밖에 얻을 수 없습니다.

 

 

특정 블록은 혼자 탐사한다면 난이도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예: 판정 성공이 여러번 필요.)

 

 

판정과 행동에 대하여

전투/제작/회복은 일일임무 혹은 지역임무의 판정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두 임무를 제하고도 일상적인 행동인 제작/회복은 1일에 1회씩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조사봇을 태그하여 [행동(제작/회복 택1)] 을 입력해 주세요.

 

 

일부 행동을 연속으로 성공한다면 확률적으로 타이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제작에 대성공한다면 아이템에 이름이 붙습니다.

 

 

아이템은 특수한 효과가 있습니다.

직공의 경우, 만들어낸 아이템에 SP 증가 기능이 추가됩니다.

사제의 경우, 만들어낸 아이템에 HP 증가 기능이 추가됩니다.

 

 

상태이상에 관하여,

전투와 조사 등 임무를 수행하다보면 여러 일이 일어납니다. 특정한 함정에 빠지거나 전투 중 HP를 완전히 잃는 일이 생긴다면 일시적 상태이상을 지닙니다. 이 상태이상의 종류는 단순한 상처부터 시작해서 중독, 착란 등일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 상태이상은 교단에 복귀하면 회복되지만, 다이스 굴림을 통한 기한으로 후유증이 남으며 후유증이 있는 상태에서 다시 HP를 완전히 잃는 경우 영구상해로 남습니다.

 

동행에 대하여,

임무는 2인 이상 동행할 수 있습니다. (최대 4인) 총괄봇과 조사봇을 태그해 동행선언 후, 같은 시간대에 같은 지역을 탐사할 경우 동행이라 인정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조사는 각각 조사봇과 진행합니다.

 

멘토링에 관하여,

평 이하의 직급들은 수석 이상의 직급과 임무를 동행했다는 설정으로 멘토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멘토링이란, 동행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멘토가 멘티에게 1회의 임무횟수를 제공하여, 임무에서의 멘티가 SP를 제외하고도 판정의 재굴림 기회를 지닐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역 임무, 특수 임무 같은 상황에서 가능하며, 횟수 제한이 있습니다. 

이 횟수 제한은 EXP상점에서 살 수 있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비록 임무 횟수가 함께 차감되며, 전리품은 나누어 가져야 하지만, 멘토링을 통해 멘토와 멘티는 임무 후 추가 경험치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대상과 2번 이상의 멘토링은 달에 n번으로 정해져있습니다. 다양한 멘토를 만나고, 다양한 멘티를 가르치세요.

CLOSE